올해 그린보트는 블라디보스토크, 가나자와, 후쿠오카를 돌며 6박 7일의 다채로운 강연을 했다

    그린보트는 바다 위에서 동북아시아의 사회, 문화, 환경 등 문제에 대해 강연을 듣고 대안을 찾는 활동이다 / 사진 제공 구태희

4월의 어느 봄날, 국내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 그린보트가 닻을 올렸다.

그동안 환경재단은 일본의 피스보트와 공동으로 10회에 걸쳐 1,100명의 한·일 승객을 “피스앤그린보트”에 태워왔다. 올해부터는 환경재단 단독으로 1,600여명을 태운 “그린보트”항해를 시작했으나 그동안 일본 시민들과 함께 고민하던 ‘평화’의 부분도 놓지 않았다. 평화란 결국 현 세대가 후손들에게 어떤 환경을 물려줄 것인지에 대한 치열한 고민과 행동 끝에 이뤄지는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이번 여정에서 들른 기항지는 총 세 곳이다. 조선사람 ‘까레이스키’가 거주하는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토크, 윤봉길 의사가 생애 마지막을 보낸 일본 가나자와, 유엔인간정주계획(UN-HABITAT)과 함께 지속가능한 도시(폐기물 관리 분야)로 주목받는 후쿠오카이다.

이같이 환경재단이 준비한 크루즈 여행은 일반적인 관광 패키지 상품과는 다르다. 그린보트는 문화적인 접근 방식과 전문성을 통해 환경과 평화의 가치를 알리고자 노력한다. 그래서 기항지뿐 아니라 더 건강한, 더 즐거운, 더 새로운 지구라는 주제에 맞춰 각 분야의 전문가를 섭외하고 6박 7일간 다채로운 강연을 망망대해에서 제공했다.  

그린보트 안에서 만나게 되는 다국적 출신의 선원들은 그동안 카지노와 엔터테이먼트 공연 열기로 가득했던 공간이 승객들이 토론하고 필기하는 교육의 장으로 바뀐 것을 보고 눈이 휘둥그레졌다. 조용한 분위기에서 눈물을 흘리는 승객을 보며 이게 무슨 일인지 물어왔다.

  그린보트의 세월호 추모식 / 사진 제공 구태희

이번 그린보트에서는 대한민국의 아픔으로 남게 된 4.16 세월호 참사를 바다 위에서 기억하고자 했다. 2018년 세월호 네 번째의 봄을 맞아 승객들은 낭독회와 추모 콘서트를 통해 바다에서 생을 마감한 이들을 추모했다. 많은 사람들이 먹먹해하며 배에서 육지로 동시대의 아픔을 기억했다.  

그린보트는 양적으로 성장해야 한다. 서울 1,000여개의 학교 중 환경교육을 하는 곳은 단 한곳밖에 없다. 현 교육이 감당하지 못하는 부분을 시민단체의 적극적 개입으로 채울 수 있고, 이에 그린보트는 어린이들이 환경을 공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그 취지에 공감한 기업들이 사회적 공헌 차원에서 어린 새싹들을 재정적으로후원했다. 또한 기업이 임직원을 인솔교사로 파견해 학생과 멘토링도 이뤄졌다. 이같은 사회공헌 활동의 확산은 지속돼야 한다.

단독으로 시작한 그린보트가 첫 술에 배부를 순 없다. 그간 대형 사업으로 입지를 굳혀온 환경재단은 시간이 흘러도 시민단체의 본질을 잃지 않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일주일 동안의 시간이 순식간에 지나갔다. 금세 일상으로 복귀한 이도, 뭍에서 아직까지 배 멀미에 시달리는 이도 그린보트에서의 시간을 떠나보내지 못하고 있단다. 한 배를 탔던 우리는 바다 위에 떠다니는 손톱 크기의 나뭇잎이었다가 2018년 기억 속에 남을 추억의 한 조각이 되었다.

그럼 2019년에 또 뵙기를. 
 

저작권자 © 은평시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